Makefile은 파일 변경에 따라 어떤 부분을 재컴파일할지 결정해 빌드 자동화
기본 문법은 목표(target): 선행조건(prerequisites) 아래 탭으로 시작하는 명령어 구조
타임스탬프를 활용해 선행조건이 변경되었는지 판단하고 필요한 타겟만 재실행
.PHONY와 .DELETE_ON_ERROR로 파일명 혼동 방지 및 오류 시 대상 삭제 지원
:=, =, ?=, += 등 변수 정의 방식과 ${} 또는 $()로 변수 참조
* 와 % 와일드카드를 이용한 패턴 규칙(static/pattern rules)으로 유연한 파일 처리
자동 변수($@, $<, $^ 등)로 목표명·첫 번째 선행조건·모든 선행조건 쉽게 참조
wildcard, patsubst, filter, foreach, call, shell 등 내장 함수로 문자열 및 파일 리스트 가공
include, vpath, 재귀 호출 및 export로 복잡한 프로젝트 구조와 환경 변수 전달 가능
Makefile Cookbook 예시에서 .d 의존성 파일 자동 생성 및 포함해 중대형 프로젝트 관리
Get notified when new stories are published for "🇰🇷 Hacker News 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