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는 구글 Borg에 기반해 개발되어 2015년 CNCF 출범과 v1.0 출시 이후 선언적·확장 가능·자가 치유형 인프라로 자리 잡음
YAML은 타입 안전성이 부족하고 오류 발생 가능성이 높아 HCL(HashiCorp Configuration Language) 채택을 제안
etcd만을 기본 저장소로 사용하는 구조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kine나 dqlite 같은 대체 백엔드 플러그인 지원 필요
헬름(Helm)의 복잡한 템플릿 로직, 의존성 관리 한계 등을 극복하기 위해 쿠버네티스 네이티브 패키지 매니저(KubePkg) 설계 제안
IPv6를 기본 네트워크 스택으로 전환하여 복잡한 NAT·주소부족 문제 해결 및 클러스터 간 통신 단순화
패키지 서명·검증, 의존성 해소, 버전 관리, 라이프사이클 훅, 감사 추적 등 강화된 기능을 기본(default)으로 제공해야 함
기본 경로(happy path)가 기술 채택을 결정하므로 핵심 프로젝트 차원에서 강력한 기본값 설정이 중요
Get notified when new stories are published for "🇰🇷 Hacker News 한국어"